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 감성 미술관 나들이|인생샷 남기기 좋은 전시 공간 5선

by SantaCorea 2025. 5. 12.

서울에서 꼭 가봐야 할 감성 미술관 5곳을 소개합니다.

전시 관람은 물론 인생샷 명소와 실내 데이트 코스로도 완벽한 미술관 투어 추천!


안녕하세요, 파워블로거 산타코리아입니다  😊

힐링과 감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곳을 찾고 계신가요? 

 

오늘은 서울에 있는 미술관으로의 여행을 떠나보아요~

 

서울의 미술관들은 다양한 전시와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시립미술관 등은 지속적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전시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1. 리움미술관 – 피에르 위그 개인전

 

  • 기간: 2025년 2월 27일 ~ 7월 6일
  • 특징: 생명체, 인공 지능, 시스템의 경계를 다루는 현대미술 작가 피에르 위그의 아시아 최초 개인전입니다. 독특하고 몰입감 있는 설치 작업이 인상적인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움미술관에서 개최되는 피에르 위그의 아시아 최초 개인전 《리미널》은 지난 10여 년간 그의 예술적 탐구를 조명하며, 특히 예측 불가능성과 인간-비인간의 상호 의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주요 내용:

  • 전시 제목 '리미널'의 의미: 예상치 못한 것이 출현할 수 있는 과도기적 상태
  • 전시 구성: 신작 3점(<리미널>, <카마타>, <이디엄>)과 대표작 9점(<휴먼 마스크>, <오프스프링>, 수족관 시리즈, <U움벨트-안리>, <암세포 변환기>) 총 12점
  • 작품 특징: 실시간 데이터, 생명공학, 인간과 기계의 협업 등을 활용하여 감각적이고 시적인 세계를 제시
  • 전시의 핵심 질문: 불가능하거나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어떻게 경험할 수 있는가, 새로운 주체성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 의존성을 어떻게 인지할 수 있는가
  • 주요 작품 상세:
    • <리미널>: 센서 데이터와 인공 신경 조직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얼굴 없는 인간 형상
    • <이디엄>: 인간 발성과 신경망을 통해 실시간 생성되는 황금색 마스크를 쓴 사람들의 언어
    • <U움벨트-안리>: 암세포 분열 데이터와 외부 조건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이미지
    • <카마타>: 아타카마 사막의 인간 해골을 중심으로 기계가 수행하는 끝없는 장례 의식
  • 피에르 위그의 예술관: 전시는 완성된 결과물이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는 살아있는 환경이며, 예측 불가능한 '불확실성의 세계'임. 선형성을 벗어난 서사, 역사 너머의 허구, 혼돈을 지나는 다양한 가능성의 투영에 관심을 가짐.

 

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 론 뮤익 개인전

 

  • 기간: 2025년 4월 11일 ~ 7월 13일
  •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지하 1층 5, 6전시실
  • 공동주최: 국립현대미술관, 프랑스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 관람료: 5,000원
  • 운영시간: 10:00~18:00 (수, 토요일은 21:00까지 야간 개장)
  • 특징: 극사실주의 조각의 거장 론 뮤익의 국내 첫 대규모 개인전입니다. 실제 사람과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정밀하게 제작된 초대형 인체 조각들이 전시장 전체를 압도합니다.

 

전시 특징 및 주요 내용

  • 이번 전시는 호주 출신의 현대 조각가 론 뮤익(Ron Mueck)의 아시아 최대 규모이자 국내 첫 개인전입니다.
  • 론 뮤익은 극사실주의적 인체 조각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으며, 인간의 존재, 삶과 죽음, 시간과 감정 등 보편적 주제를 정교한 기술과 독창적 시각으로 탐구합니다.
  • 전시에는 대표작과 신작을 포함해 약 30여 점이 출품되며, 특히 100여 개의 인체 두개골을 쌓아올린 대형 설치작품 ‘매스(Mass, 2016–2017)’가 하이라이트입니다. 이 작품은 전쟁, 재난, 전염병 등 인류의 집단적 기억과 고통을 상징합니다.
  • 주요 전시작으로는 실제보다 4배 큰 자화상 ‘마스크 II(2002)’, 가로 6m의 대형 인물상 ‘침대에서(In Bed, 2005)’, 초기 대표작 ‘유령(Ghost, 1998/2014)’, 최근작 ‘치킨/맨(Chicken/Man, 2019)’ 등이 있습니다.
  • 론 뮤익의 조각은 해부학적 디테일, 머리카락, 옷차림까지 극도로 정밀하게 재현하며, 크기의 극단적 조절을 통해 초현실적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3.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 강명희 개인전

 

  • 기간: 2025년 3월 4일 ~ 6월 8일
  • 특징: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자연의 본질에 대한 깊은 통찰을 회화로 표현하는 강명희 작가의 대규모 회고전입니다.

 

전시 특징 및 주요 내용

  • 이번 개인전은 강명희가 50여 년간 세계를 유랑하며 마주한 자연의 풍광과 색채, 그리고 존재에 대한 사유를 담은 대형 추상회화 신작 및 대표작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 작가는 제주도에 거주하며 한라산, 황우치 해안, 대평 바다, 안덕계곡 등 구체적인 장소에서 영감을 얻어 자연의 본질을 화면에 담아왔습니다.
  • 강명희의 회화는 자연의 움직임과 시간의 흐름, 생성과 소멸, 땅의 역사와 기억, 생명과 재탄생의 에너지를 시적이고 우주적인 추상언어로 표현합니다.
  • 전시는 연대기적 구성이 아니라 작가의 시공간적 경험과 의식의 흐름을 바탕으로, 관객이 마치 자연 속을 거니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4. 피크닉 (Picnic) - 《사운드워크 컬렉티브 & 패티 스미스 : 끝나지 않을 대화 (Soundwalk Collective & Patti Smith: CORRESPONDENCES)》

 

  • 위치: 서울 중구 퇴계로6길 30
  • 특징: 아름다운 건물과 공간이 인상적인 전시관으로, 매번 수준 높은 전시를 진행합니다. 건물 전체를 하나의 전시에만 사용하며, 넓은 규모만큼 수준 높은 전시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 기간: 2025년 3월 4일 ~ 6월 8일

전시 정보:

  • 전시 제목: 사운드워크 컬렉티브 & 패티 스미스 : 끝나지 않을 대화 (Soundwalk Collective & Patti Smith: CORRESPONDENCES)
  • 장소: 피크닉 (piknic) (서울 중구 퇴계로6가길 30)
  • 기간: 2025년 4월 19일 (토) ~ 2025년 7월 20일 (일)
  • 운영 시간: 화요일 - 일요일 10:00 ~ 18:00 (매주 월요일 휴관, 입장 마감 17:00)
  • 참여 작가: 패티 스미스, 사운드워크 컬렉티브
  • 관람료: 성인 15,000원, 어린이 및 청소년 10,000원 (36개월 이하 무료)

이번 전시는 전설적인 뮤지션이자 시인, 작가인 패티 스미스와 뉴욕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현대 소닉 아트 그룹 사운드워크 컬렉티브가 10년 이상 협력하며 만들어낸 프로젝트입니다. 이들의 예술적 교감을 바탕으로 '조응', '공명', '응답'이라는 다층적인 의미를 담고 있으며, 예술, 환경, 인간 존재 그리고 자연에 대한 깊은 탐구를 보여줍니다.

 

5. 서울미술관 – 카와시마 코토리 : 사란란

 

  • 위치:석파정 서울미술관 별관 (서울 종로구 창의문로11길 4-1)
  • 기간: 2025년 2월 10일 ~ 5월 19일

특징: 일본 팝아트의 대가 무라카미의 유쾌하고 화려한 세계를 선보입니다. 사진과 미디어 전시로 구성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번 전시는 일본의 사진작가 카와시마 코토리의 한국 첫 개인전으로, 그의 초기작 <BABY BABY>부터 대표작인 <미라이짱>, <명성> 그리고 서울의 모습을 담은 신작 <사랑랑>까지 작가의 전반적인 작업 세계를 조망합니다.

 

전시 제목인 <사란란>은 작가가 서울을 촬영한 연작 <사랑랑>에서 비롯되었으며, 한국어 '사랑'과 '사람'의 일본식 발음인 '사란'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서툴지만 따뜻한 느낌을 주는 이 단어처럼, 카와시마 코토리는 일상 속에서 놓치기 쉬운 작고 소중한 순간들을 사랑스러운 시선으로 포착합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린 미술관 투어 코스를 참고하셔서, 감성 가득한 예술 여행을 즐겨보시길 바랍니다.

 

각 미술관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최신 전시 일정과 예약 정보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지금까지 산타코리아였습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인사드릴게요😊